twm : 다른 윈도우 매니저의 조상이며, 최초의 ICCM 윈도우 매니저이다.
GNOME 3 버전의 기본 윈도 매니저 : Mutter
GNOME의 기반이 되는 라이브러리 : GTK+
GNOME 데스크톱 기반의 파일 관리프로그램 : mautilus
GNOME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 : evince(PDF), gimp, totem
GNOME에서 사용되는 문서편집기 : gedit
GNOME와 KDE 데스크톱환경에서 X윈도 강제종료 키 조합 : Ctrl + Alt + Backspace
KDE와 관계있는 라이브러리 : Qt
리눅스 부팅 시에 X윈도가 실행되도록 관련 파일 수정해야 되는것 : id:5:initdefault
X윈도우를 실행시키는 스크립트(xinit), 시스템환경을 초기화하고 시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호출 : startx
X윈도와 관계 있는 TCP 포트번호 : 6000
X윈도 관련 개발시 Xlib의 기능을 포함하는 고수준의 라이브러리 : motif
X윈도 : network 프로토콜에 기반을 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환경이다.
다양한 종류의 컴퓨터에서 구동될 정도로 이식성 좋다.
X server와 X client의 서버/클라이언트 구조이다.
X서버에서 X클라이언트 허가를 위해 생성한 키 값을 확인할 때 : xauth
Xhost 명령으로 클라이언트를 x서버에 접근가능하도록 하는 설정(ip주소&host확인) : xshot + ip주소
사용자가 x윈도 실행시에 관련 키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: .Xauthority
X윈도 데스크톱 환경 : GNOME, XFCE, LXDE(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는 것 : KDE, GNOME, XFce)
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서버와 대화역활 : Xlib
X.org에서는 저수준의 Xlib을 대신에 사용하는 것 : XCB
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간에서 상호간 통신을 위한 접점, 일반적으로 ip와 포트번호로 구성 : Socket
국제도메인관리기구or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 : ICANN
WWW 인터넷 서비스와 거리가 먼 것 : IRC
RPC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: NFS
NFS는 (NIS)와 더불어 (RPC)프로토콜 기반으로 작동, 해당 서비스를 해주는 (portmap)데몬을 실행해야한다.
WWW의 기반 프로토콜 : HTTP
WWW은 웹 서버의 자원을 접근하기 위해 (URL)를 사용, (HTML)언어를 사용
인터넷 기반의 문서검색 시스템으로 텍스트기반의 메뉴 인터페이스 사용. WWW 대체전까지 사용 : GOPHER
www기반의 다양한 정보를 위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웹브라우저 : 파이어폭스, 갈레온, 컨쿼러
* KISA는 아직 한글 도메인을 허가하지않는다.
FTP서비스 : Server/Client 구조. 텔넷과 동일하게 ID/PS로 로그인, ftp 명령뒤에 호스트명 or IP주소를 입력해서 리모트 시스템에 연결한다.
파일전송 및 다운로드 진행상황을 #으로 확인 할때 사용하는 ftp명령어 : hash
전송 서비스 : 프로토콜 기능 중 우선순위 결정, 서비스 등급과 보안 요구들을 제어한다.
송수신 호스트 간에서 코드와문자를 번역, 데이터의 암호화,해독,압축과해제 수행 : 표현계층
올바른 경로선택지원, 혼잡제어,패킷 분할 및 병합등의 기능 수행 : 네트워크 계층
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가변 길이 프레임 전송을 지원하는 프레임릴레이의 근간 : X.25
arp -s : arp캐쉬 테이블에 저장된 특정 ip에 대한 mac주소를 변경한다.
ICMP : 메세지에 대한 오류보고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원래 호스에서 보고하는 역할 수행.
ethtool : 네트워크 카드 설정 정보를 출력,변경하는 명령
traceroute : 사용자가 원하는 호스까지 패킷이 경로로 전달되는지를 작은 TTL값과 돌아오는 응답으로 알려줌
Vorbr0 : 서버 가상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생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
CSMA/CD : 이더넷 환경에서 다중접속의 반송과 감지 및 충돌 탐지방식용어
토큰 패싱방법으로 데이터 전송, 노드의 추가가 어렵고, 노드에 문제 발생시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되는 LAN 구성방식 : Ring 형
여러 컴퓨터를 하나의 링에 이어 형성되고, 데이터는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: token ring
광섬유 케이블 사용, 링구조의 통신망, 토큰패싱방법으로 네트워크 엑세스제어 : FDDI
ATM, 53Btye의 고정 길이 패킷을 이용, 순서대로 자료 전송 방식 : cell relay
ssh 기반으로 로그인에 성공한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려고 할 때 설정하는 파일 : /etc/motd
ssh의 옵션 : ssh -N(리모트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다), ssh -l(계정변경로그인)
ssh에서 제공하는 기능 : 터널링, x11 포워딩, 원격지 컴퓨터 로그인 및 제어
telnet -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/ 포트번호 23번
-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계정이 반드시 필요
SMTP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를 알기 위해 참고해야할 파일 : /etc/services
SMTP 포트번호 : 25
이더넷 카드를 부팅 시 활성화시키기 위해 모듈 관련설정 파일위치 : /etc/modprobe.d
DNS서버의 IP주소가 등록된 파일 : /etc/resolv.conf
네트워크 사용유무지정, 호스트명 설정, 게이트웨이 주소 및 장치파일 설정파일위치 :/etc/sysconfig/network
리눅스에서 네임 서빙을 받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파일위치 : /etc/host.conf
TCP 프로토콜
- 연결지향 전송 프로토콜, 안전성과 신뢰성이 뛰어남, 3-way handshaking 연결방식
ifconifg로 확인 할 수 있는 항목 : ip주소, netmaks, mac주소
netstat명령으로 멀티캐스트 그룹 맴버의 정보를 출력할때 사용하는 옵션 : netstat -g
게이트웨이 주소 확인 명령 : netstat
외부에서 하나의 ip주소에 의해 유발된 상태로 정상적인 서버 접속x, 외부에서 접속x : SYN_RECEIVED
네트워크 주소 설정위해 기존 삭제 : route del -net ip주소 netmask netmask값
채널 본딩을 한 다수의 컴퓨터 이용/PVM등과 같은 라이브러리 사용 : 고계산용 클러스터
최적의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성되는 클러스터 조합 : 부하분산 클러스터와 고가용성 클러스터
대량의 웹서버를 운영하는 포털업체에서 사용자의 웹서비스 연결부하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러스터 기술로 로드 밸런서를 이용하는 클러스터 : Linux Virtual Server Cluster
프로세서&컨트롤러, 메모리,I/O장치,Network장치,센서 / 운영체제,시스템SW, 응용프로그램 : 임베디드 시스템
임베디드 리눅스의 장점
- 오픈소스로 되어있어 변경 및 재배포가 쉽다.
- 별도의 로열티나 라이선스 비용이 없다.
- 리눅스를 사용한지 오래되었고, 커널이 안정적이다.
SAMBA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 : SMB, NetBIOS, LanManager, CIFS
dig 명령을 이용, DNS로부터 도메인 정보 확인하는 쿼리타입과 설명
- soa : SOA 정보를 의미
- ma : 지정한 도메인의 메일서버 정보를 의미
- ns : 네임서버를 의미
XEN 가상화 기술
- 전가상화와 반가상화를 모두 지원
-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2002년 공개프로젝트로 전환
- 가상화 기술기반으로 개발된 제품은 Virtul Iron, Oracle VM Server가 있다.
공개형 서버 가상화 기술중 다양한 하이퍼바이저를 통합 관리가 가능한 제3세데 서버 가상화 기술
- OpenStack, CloudStack, Eucalyptus
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술 : IoT
다양한 하이퍼바이저를 통합 관리가 가능한 플랫폼형 서버 가상화 기술 : OpenStack, Eucalyputs,Cloudstack
Thunderbird : 모질라 재단에서 개발되었다.
인텔과 삼성이 주축으로 리눅스 재단, MeeGo 개발자들이 만든 리눅스 기반의 공개형 모바일 운영체제 : Tizen
리눅스 2.6 커널위에 동작되는 모바일 운영체제로 오픈 핸드셋 얼라이어언스가 07년도에 공개 : IOS
빅데이터 기술중 분석된 데이터의 의미와 가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 : R
업무처리에 필요한 서버등 IT하드웨어 자원을 빌려쓰는 형식 : IaaS
'Security > 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마스터 2급 2차 요약정리[펌] (0) | 2016.03.07 |
---|---|
리눅스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운영 및 관리 (0) | 2016.03.02 |
리눅스 정리 #1 (0) | 2016.02.29 |
Nessus, OpenVAS and Nexpose VS Metasploitable[펌] (0) | 2016.02.16 |
ARP Spoofing 공격[펌] (0) | 2016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