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일의 소유권 및 허가권 확인 : Is
홈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: cd$HOME, cd ~, cd
접근권한 변경 명령어 : chmod
chown 사용 시에 내부 디렉터리의 소유권(소유자)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옵션 : chown -R
chgrp 옵션 중 심볼릭 링크파일의 그룹 소유권 변경 옵션 : chgrp -h
* SetUID : S나s로 표현되고 4xxx로 표현
* SetGID : S나s로 표현되고 2xxx로 표현
* Stick bit : T나t로 표현되고 1xxx로 표현
ext2, ext3와 호환성이 있고 확장버전, 64비트 기억공간의 제한x : ext4
CD-ROM, DVD-ROM등 보조기억장치 미디어 꺼낼 때 쓰는 명령어 : eject
디스크추가 후 파일시스템 생성, 마운트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: mount, fdisk, mkfs
디스크 파티션 추가/삭제/확인 하는 명령어 : fdisk
* 시스템 파일 시스템 생성 순서 명령어 : fdisk -> mkfs -> mount *
/lost + found 디렉토리와 관계 있는 명령어 : fsck
chkdsk와 디스크검사같은 유사한 리눅스의 명령어 : e2fsck
파일시스템의 무결성에 문제가 있을때 파일시스템 체크를 할때 모든 질문에 yes 명령어 : e2fsck -y /파일
디스크에서 차지하고 있는 디렉토리or 파일용량 출력 : du -옵션 /디렉토리
디스크 사용량 확인 : df -h
예약작업 crontab순서 : 분 시 일 월 요일(1,2,...) 실행파일경로
옵션 : -l(설정된 내용을 출력한다) , -e(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한다)
-u(root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다룰때 사용)
top -d 1 -p 4056 : 프로세스의 상태와 cpu,메모리,swap등을 출력,
-d옵션으로 1초간격으로 출력,PID가 4056만 출력
-M : 메모리사용량에 따라 프로세스 정렬해서 출력
top 명령어 : r(Nice값을 변경),k(kill 명령),q(top을 종료),t(TIME값으로 정렬)
nice 명령어
-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 NI값을 설정할 때 사용
- NI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
- NI의 기본값은 0이고, 지정 범위는 -20 ~ 19까지이다
pstree :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tree구조로 출력
pstree 옵션 : -a(명령행 인자까지 출력) , -h(명령부분을 진하게 강조해서 출력)
-n(PID순으로 정렬), -p(프로세스명과 PID출력)
ps : 현재 동작하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현황
ps 주요옵션 : a(터미널과 연관된 프로세스 출력), u(프로세스의 소유자를 기준으로 출력)
e(해당 프로세스에 관련된 환경변수 정보를 함께 출력), f(full format 정보출력)
ps 명령어를 사용 pid,tty,time등 출력포맷 지정하는 옵션 : ps -o
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형태의 프로세스로 실행하는 형태 : fork
원래의 프로세스를 대처하는 형태 : exec
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프로세스로 전환하는 명령어 : fg %작업번호
다수의 백그라운드 작업 수행시 작업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 : jobs
사용자가 로그아웃하거나 작업 중인 터미널이 종료되어도 실행 중인 프롯스를 백그라운드프로세스로 계속 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 : nohup
네트워크와 관계있는 파일시스템 : CIFS
사용자의 쿼터 설정 정보 출력 : repquota
사용자정보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명령어 : edquota -p 사용자1 사용자2
fstab에 사용자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 : userquota
본 셸을 기반,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, ksh 와 csh 장점을 합친 리눅스의 표준 셸 : bash
현재 사용 가능한 셸 확인 : chsh -l
bash shell에서 설정언어를 영어로 할때 : LANG=C
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변경하고자 할 때 명령어 : chsh
bash에서 로그인하고 작업안 할때 자동 로그아웃 시키는 환경변수 : TMOUT
bash에 기존 PATH설정에 새로운 경로 추가방법 : export $PATH=$PATH:새로운경로
환경변수 출력하기 : env
ls \ -> 프롬포터 > 변경되게 하는 셀 환경변수 : PS2
xclock 명령어 결과 localhost 3번 디스플레이에 시계가 떳을때 디스플레이 변수설정값 : export DISPLAY=:3.0
/etc/profile : 시스템전체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설정가능한 위치
최근 입력한 명령어 목록 출력 : history
history의 환경변수 - HISTSIZE : 스택의 크기가 지정, 단위는 명령의 개수
- HISTFILESIZE : 실질적인 히스토리 파일의 크기
- HISTFLE : 히스토리 파일의 위치를 보여줌
마지막에 실행한 명령부터 다시 실행할때 명령어 : !-(숫자)
history | wc -1 명령어 값이 100이면 먼저 실행된 명령어 : export HISTSIZE=100
alias 해제 : unalias 설정값 고대로
파일삭제할때 실수방지하기 위해 삭제전에 묻게 할려면 : alias rm='rm-i'
시그널의 종류와 설명
- SIGHUP(HUP) <1> : 로그아웃,설정파일 다시 읽기
- SIGINT(INT) <2> : 키보드에 의한 실행 중지, CTRL + C
- SIGQUIT(QUIT) : 키보드로부터 오는 실행중지 시그널
- SIGKILL(KILL) <9> : 무조껀 종료, 강제종료
- SIGSTOP(STOP) <19> : 실행정지
- SIGTERM(TERM) <15> : 실행종료,안전한종료
- SIGTSTP(TSTP) <20> : 키보드에 발생하는 시그널로 CTRL + Z로 생성
killall 명령어를 사용, 시그널이 전송된 결과를 출력할 때 옵션 : killall -v
kill -9 759 757 785 == kill -SIGKILL 759 757 758
kill 옵션으로 시그널 목록 확인 : -l
Apache (웹 서버) 데몬을 종료하는 방법 : service (httpd) stop, killall (httpd), killall -v -9 (httpd)
프로세스 상태코드의 STAT의 값 중 "Z"가 의미하는 것 : 작업은 종료, 부모로부터 회수되지 않아 메모리 차지중
리눅스가 부팅하고 커널이 프로세스를 발생시키는데 이 프로세스는 PID 1번을 받는다 : init
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에디터 : vi, emacs, pico
vi 편집기 치환 : .,.+몇줄까지s/바꿀문자/대체할문자/g
vi 편집기의 환경설정 등로하여 실행시에 지속적으로 지정한 설정이 사용가능하게 하는 파일 : .exrc
vi 편집기 라인번호출력 : set nu
emacs편집기에서 커서를 아랫줄로 이동하는 명령 : ctrl + n
emacs편집기에서 현재 편집중인것을 새로운파일로 바꿀 때 : ctrl + x 후에 ctrl + f
emacs편집기에서 커서가 있는 문자부터 줄 끝까지 삭제할때 : ctrl + k
pico 편집기에서 한줄 삭제후 붙여넣기 : ctrl + k 후에 ctrl + u
pico 편집기에서 편집된 내용을 저장할 때 : ctrl + o
pico 편집기에서 커서위치에서 그줄의 끝으로 이동 : ctrl + e
pico의 복제버전 : nano
* vim 편집기 : vi편집기와 호환o, 패턴 검색 시 하이라이트 기능 제공, ex모드에서 히스토리 기능 제공
* vi 편집기 :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쓰는 편집기로 빌 조이가 개발
* emacs 편집기 : 리처드 스톨만이 매크로기능이 있는 텍스트 교정 및 편집기로 개발,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
모드를 스스로 만들수 있다. C,LISP,FORTRAN등 소스코드 작성이 가능하고 HTML에 적합한 모드 설정 가능
* pico 편집기 : 워싱턴 대학에서 만든 유닉스용 편집기로 윈도우의 메모장처럼 사용이 간편
REDHAT에서 개발한 패키지 관리 기법 : yum, dpkg, YaST
dpkg -r mc : mc 패캐지를 삭제하지만 환경설정파일은 제거되지 않는다.
rpm 설치 기본 옵션 : -i(기본설치), -U(이미 설치되있으면 비교후 새버전으로 업데이트, 아니면 그냥설치)
-F(이미 설치 되잇는경우만, 비교후 업데이트), -e(패키지 삭제)
rpm 추가옵션 : --nodeps(의존성 검사x), --force(설치 후 작동x, 강제 설치), --test(가짜 설치)
-v(작업과정을 보여준다), -h(진행상태를 #의 바형태로 보여준다)
rpm 질의 옵션 : -qa(설치된 패키지 보여준다), -Va(설치된 모든 패키지 검증한다.)
(옵션뒤에 name 생략) -qd(name 패키지의 파일목록중에 문서파일만 조회)
-gc(name 패키지의 파일목록중에 설정파일만 조회)
-gl(name 패키지의 파일목록중에 설치파일 조회)
-gR(name 패키지가 필요로 하는 의존성 조회)
rpm쿼리의 포맷이 출력되도록 명령어순서 : rpm 옵션 arch name version release
rpm 패키지 검증코드 : S(파일크기변경),M(파일모드변경),L(링크파일경로불일치)
yum기본 명령어 : yum list 패키지(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 확인), yum update 패키지(업데이트)
yum -y install 패키지(설치), yum -y remove 패키지(삭제)
yum 설정 파일 위치 : /etc/yum.conf
yum파일 저장소 파일인 CentOS-Base.repo의 주요 항목
- base : yum 패키지 서버의 기본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.
- updates : 업데이트된 패키지를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.
- extras : 유용하게 쓸 수있는 추가 패키지경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.
yum 명령중 그룹과 연관된 패키지 정보 출력 : groupinfo
apt-get : 데미안 리눅스에서 패키지 관리 쉽게하기 위해 제공되는 yum과 비슷하다.
apt-get 사용 시에 의존성 및 충동설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 : /etc/apt/source.list
apt-get 옵션중 제거명령을 수행할 때 환경설정까지 같이 제거할 때 사용하는 옵션 : --purge
apt-get 명령으로 패키지를 제거할 때 : apt-get remove 패키지이름
cmake : 소프트웨어빌드에 특화된 언어로 독자적인 설정스크립트 사용, SWIG,Qt,FLTK등을 지원, 평행빌드지원
configure : 소스프로그램의 환경 설정을 하는 스크립트
ZIP명령으로 하위 디렉터리 압축하는 옵션 : -r
.Z 파일을 압축해제하는 명령어 : uncompress, .bzp2 파일을 압축해제하는 명령어 : bunzip2
gzip 패캐지에 있는 명령으로 압축되있는 텍스트파일의 내용 확인 할때 : zcat
gzip 옵션중 가장 빠른 압축옵션 : -1
gzip 옵션중 결과를 표준출력으로 보낼 때 : -c
tar 명령 옵션
-r : 기존의 tar파일 뒤에 파일을 추가
-C :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(-c : tar 생성)
-x : 생성된 tar 해제
-z : tar + gzip(-j : tar + bzip2)
* tar cvf 파일이름.tar 경로 : tar파일생성
tar cvzf 파일이름.tar.gz 경로 : tar.gz파일생성
tar cvjf 파일이름.tar.bz2 경로 : tar.bz2파일생성
설치된 PCI 관련 장치의 목록을 확인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- lspci, cat /proc/scsi/scsi, cat /proc/bus/pci/devices
CUPS : 애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, HTTP기반의 IPP을 사용, 관련 명령어도 BSD와 System V 모두 사용가능
리눅스시스템에서 프린터를 직접 연결하면 자동으로 관련 파일 생성 : /dev/usb/lp0
리눅스시스템에서 프린터 기본 스풀 디렉토리 : /var/spool/lpd
리눅스 초기 프린팅 시스템으로 LPRng를 사용, LPRng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설정파일 : /etc/printcap
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프린트 관련 명령어 : lpc, lpq, lpr
동일 네트워크에서 윈도우시스템 프린터에 연결 : Samba Printer
system V 계열의 프린터 명령어 : lp, cancel
lp -n 5 /etc/passwd : /etc/passwd 파일의 내용이 모두 5장 출력
lpr 명령으로 타이틀 페이지의 타이틀명을 성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 : -T
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린터로 출력물을 받을 수 있는 명령어 : lpr 파일이름, lpr -r 파일이름, cat 파일이름 | lpr
오디오 CD에서 음악 파일 추출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 : cdparanoia
리눅스 사운드 드라이버 유형 : OSS, OSS/FREE. ALSA
리눅스 사운드카드 제어 명령 옵션
- alsactl -v : alsactl 명령어의 버전 출력
- alsactl -h : help모드로 alsactl명령어의 사용법 출력
- alsactl -d : 디버그 모드 사용
- alscatl init : 초기화
- alscatl -f : /etc/asound.state
리눅스시스템(ALSA)에서 사운드카드의 볼륨조정하는 명령어 : alsamixer
이미지 50*50mm 스캔, 파일형식 pnm, image.pnm으로 저장 명령어
: scanimage -x 50 -y 50 --format=pnm > image.pnm
'Security > 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마스터 2급 2차 리눅스 운영 및 관리 (0) | 2016.03.02 |
---|---|
리눅스 정리 #2 (0) | 2016.02.29 |
Nessus, OpenVAS and Nexpose VS Metasploitable[펌] (0) | 2016.02.16 |
ARP Spoofing 공격[펌] (0) | 2016.02.15 |
FTP의 Active Mode와 Passive Mode (0) | 2016.02.13 |